『금일의 유행병』4호

Scrofa> News 홈> 칼럼> 건강 테마2021. 5. 21. 19:05 허버허버 [hubba hubba]신) 망상에 빠져 특정 상대를 공격하는 존재들이 자멸로 바삐 향하는 움직임을 뜻하는 의성어 인셀과 이들의 배양토인 한국 사회. 이들의 상호 작용은 지금 샅샅이 기록으로 남고 있다. 이 열성 인자들의 생태계 활동사는 훌륭한 질병 사료로 남을 것이다. 그에 반해 여성혐오와 여성의 실제 피해 사건들은 별 달리 화제가 되지 않고 있다. 인셀은 오직 망상만으로도 수치심 없이 날뛰지만, 여성들은 지금 명백한 당위성이 있음에도 상대를 조지려 움직이지 않는다. 비판은 하되 행동은 자제한다. 수많은 사건과 주변의 언행에도 여성들은 왜 나서지 않을까. 한 기자가 의문을 품고 올린 글을 보았다. “기사가 쏟아지고, 일상의 혐오사례에 관한 공론화가 계속 올라오고 있음에도 이상하게 여성들이 너무 조용하다. 화제가 되지 않는다.” 그들은 움직이고 여성들은 움직이지 않는다.차이는 무엇일까. 그들의 원동력은 대체 무엇인가. 역시 재미겠지. 공격이 놀이인 문화. 그들에겐 상대를 공격하는 행위 자체가 유희지만, 여성들은 공격행위에서 재미라는 감각을 아예 느끼질 못하거나 거부한다. 심지어는 자기 안의 공격성을 느끼고 표출하는 것에 공포를 느낀다. 그렇다면 왜 여성은 자신의 공격성을 꺼리고 검열하는가? 그 두려움과 불쾌감의 근원은 어쩌면 여성만의 도덕 결벽에 있지 않을까. 여성이 잃어버린 옛 친구란 역시 공격성 아닐까. 공격은 상대와 외부세계를 바꾸는 행위다. 당연히 여기엔 강제성이 있다. 강제성 없는 변화란 허상이다. 지구상의 모두가 만족하는 변화를 꿈꾸는 것은 불가능한 이상이다. 공격성 표출 없이도 상대의 자발적 깨달음에 의해 변화가 일어나는 원만한 합의 상황을 많은 여성들이 원한다. 현실 회피다. 문제적 상대의 의사를, 현상 유지를 원하는 문제적 세계를 공격성 없이 바꾸는 게 가능하다고 아직도 믿고 있는가. 자신의 존재와 논리에서 ‘무해성’을 포기하지 못한다면 아무것도 바꿀 수 없다. 여성은 이제 무해성, 완벽한 결벽에 관한 집착을 포기해야 한다. 여성에게 무해함 그리고 무결함은 질병이다. 여성이 도덕결벽을 추구하는 것은 선이 아니라 자해다. 여성들은 자기 몸을 지킬 만큼의 악은 갖고 있어야 한다. 그것이 몸을 위한 ‘선’이다. 무해함을 증명하는 것, 나는 어떤 공격성도 존재하지 않는 인간임을 다짐하고 전시하는 것. 그것이 모두를 만족시키고 자신을 보호하는 생존방식이라 믿겠지만 지금 시대엔 그것이 당신과 다른 여성들을 환자로 만든다. 상대를, 세계를 바꾸고 싶다면 더러워야 한다. 지나친 청결은 어떤 변화도 이끌어내지 못한다. 그럼에도 자신을 더럽히는 게 여전히 꺼려진다면. 가장 낮은 단계에서부터 결벽에서 벗어나보자. 앞으로 오조오억의 상대가 약자의 탈을 쓰고 아주 교묘한 방식으로 억울함을 호소하며 여성들을 흔들 것이다. 혐오자로 몰 것이다. 헷갈릴 것이다. 개의치 말고 무시해라. 그리고 공격을 놀이로 받아들여라. 그럼에도 여전히 꺼려진다면, 실질적 리스크가 적은 놀이가 있다. 여성혐오 매체에, 기업에, 판결에, 정책에 글을 써서 보내는 것. 공격성이 별 게 아니다. 상대가 원하든 원치 않든 내 의견을 표출하고, 결국은 수용하게 만드는 것이다. 사람을 모으면 더 효과적이다. 놀이는 집단일수록 더 즐겁다. 핵심은 단순히 다른 이의 놀이에 동조하고 머릿수를 채워주는 것을 넘어, 본인도 직접 글을 쓰고 표현해야 한다는 것이다. 놀이에선 자신의 완벽성을 다듬고 고민할 필요가 없다. 결벽에서 벗어나라. 움직이지 않는 것보다 움직이며 생긴 실수와, 사고가, 나의 오물행동이 차라리 주변의 그리고 다음 여성들을 보호한다. 잃어버린 친구를 되찾아, 공격의 즐거움을 체험하길 바란다. 최가설 (원인불명열 학회 임원 / 스크로파 출판 소속) 잃어버린 공격성을 되찾은 여자들의 이야기, <검은 머리 짐승들>👉 바로가기

출판사 스크로파 SCROFA

logo
LOG IN 로그인
  • 메인
    • 출판사 소개
      • 도서
        • 이벤트 & 공지
          • 제안하기
            • 원고 투고하기

              출판사 스크로파 SCROFA

              logo
              • 메인
                • 출판사 소개
                  • 도서
                    • 이벤트 & 공지
                      • 제안하기
                        • 원고 투고하기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출판사 스크로파 SCROFA

                          logo

                          출판사 스크로파 SCROFA

                          logo
                          • 메인
                            • 출판사 소개
                              • 도서
                                • 이벤트 & 공지
                                  • 제안하기
                                    • 원고 투고하기
                                      Search 검색
                                      Log In 로그인
                                      Cart 장바구니

                                      출판사 스크로파 SCROFA

                                      logo
                                      페이스북
                                      트위터
                                      카카오스토리
                                      네이버 블로그
                                      밴드
                                      구글 플러스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사업자정보확인

                                      상호: 스크로파 | 대표: 민지현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민지현 | 전화: 010-7557-4990 | 이메일: thewomkind@naver.com

                                      주소: 파주시 야당동 경의로 1046 512 | 사업자등록번호: 782-96-00712 | 통신판매: 2020-서울강남-03640 | 호스팅제공자: (주)식스샵

                                      floating-button-img